미국화학학회지(JACS) 지난 14일자 표지논문 실려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 물질이 중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현상 발견
UNIST 문회리 교수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오현철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오인환 박사팀과 공동 연구

'유연한 금속-유기 프레임워크에서 특정 동위원소 반응 호흡 전환'/출처=미국화학학회지(JACS)

국내 연구진이 영화 아이언맨에 나오는 '아크원자로'의 원료이자 '인공 태양'이라고 불리는 핵융합발전의 원료인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2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화학과 문회리 교수팀이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flexible metal-organic framework)' 물질이 중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원리를 이용해 수소 기체로부터 중수소를 더 쉽고 경제적으로 분리 할 수 있다고 한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화 아이언맨에서 잘 알려진 '아크원자로'는 핵융합 발전을 이용해 폭발적인 에너지를 만든다고 알려져있다. 아이언맨 1편에서 아프가니스탄의 한 동굴에서 미사일에서 얻어진 팔라듐이라는 금속을 이용해 아크원자로가 만들어진다.

사진=네이버 영화, 아이언맨

원자로는 핵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열을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얻는 장치이다.

중수소는 바로 이 아크원자로의 원료로 일반적인 수소보다 중성자를 더 갖는 수소의 '동위원소'로 전체 수소 기체 중 약 0.016%로 아주 미량만 포함돼 있어 분리하기가 까다롭고 가격도 비싸다. 

내부에 구멍이 많고 구멍의 크기가 변하는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를 이용해 중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이 있지만, 정교한 온도와 압력 조절이 필요하고 분리 가능한 양도 적다. 기공에 중수소만 흡착할 수 있는 조건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회리 교수/사진=UNIST
2017년 12월 문회리 교수팀의 중수소 분리관련 연구 소개글 캡처, 문회리 교수(왼쪽)/사진=UNIST

지난 2017년 문회리 교수팀은 대표적인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인 ‘MIL-53’을 이용해 중수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문회리 교수 연구팀은 이 'MIL-53'가 특정 온도 및 압력 아래에서 중수소에만 기공이 열리는 '두 번째 호흡 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많은 양의 중수소를 얻어 내는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양쪽 끝이 뚫린 긴 고무관처럼 생긴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인 ‘MIL-53’을 이용해 중수소 분리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골격체 내부의 0.26 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기공은 극저온(영하 253도)에서 수소 기체를 만나는 순간부터 0.67nm로 커졌다.

여기서 온도를 높이고 압력을 800~1000 mbar로 유지하면 두 번째 호흡 현상에 의해 또 한 번 기공이 확장한다. 두 번째 호흡 현상은 중수소에 의해서만 발생했다.

실험결과 두 번째 호흡으로 인해 추가로 흡착 할 수 있는 중수소의 양은 다공성 물질 1g 당 32mg으로, 이는 기존 연구에서 분리한 중수소 양(12g)의 2.5배다.

오현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의 기공 크기가 특정 동위원소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구조가 변하는 새로운 흡착 현상을 세계 최초로 발견한 데 큰 의의가 있는 것"이라며 "이를 활용하면 복잡하게 분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가공하지 않아도 경제적인 동위원소 분리 및 중수소 농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D2 흡착의 각 흡착 단계에 해당하는 다른 피폭 조건에서 측정한 MIL-53(Al)의 중성자 회절 패턴과 23K에서 D2-88mbar에 이어 D2-88mbar가 1:1 D2-H2 혼합물 -872mbar로 이어지는 단계적 피폭 조건./출처=미국화학학회지(JACS) 해당 연구논문 '유연한 금속-유기체 프레임워크에서 특정 동위원소 반응 호흡 전환'

문회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서 플렉시블 금속-유기 골격체의 잠재력을 다시 한번 입증할 수 있었다"며 "동위원소 분리를 위한 소재 설계의 길라잡이 역할을 할 새로운 아이디어를 학계에 제시한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전했다.

해당 연구는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미국화학학회지(JACS)에 표지논문으로 선정돼 지난 14일자로 공개됐으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오현철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오인환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포인트경제 김민철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