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델리즈 껌 사업 철수 움직임과 롯데제과 후레쉬민트의 재(再) 단종은 상징적
코로나 팬데믹 상황, 젤리 인기 상승 등이 껌 매출 감소의 주요 원인

세계적인 제과업체 몬델리즈 인터내셔널(Mondelez International)은 최근 껌 사업에서 철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달 초 투자자 행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껌 브랜드 '덴타인(Dentyne)'과 '트라이던트(Trident)'를 포함한 껌 사업을 이머징마켓을 제외한 북미 및 유럽 일부 등 선진국 시장에서 매각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몬델리즈의 껌 제품군 /사진=Mondelez International, Inc.

아직 구매자를 물색하는 단계로 매각 일정이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작년부터 껌 사업에 대한 검토를 시작한 이후 본격적인 행동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다.

한편 1972년 출시 이후 우리나라의 대표 껌으로 불렸던 '후레쉬민트'는 단종 후 4년 만인 지난해 1월 재출시하며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고자 했지만 1년 만에 다시 사라지게 됐다. 롯데제과는 올해 초 후레쉬민트의 생산 및 유통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마니아들의 향수를 자극한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경쟁 제품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지 못했고 형제 제품인 쥬시후레쉬·스피아민트와 함께 매출 답보상태를 극복하지 못한 것이 결정의 배경이다.

홈페이지 제품소개 화면(왼쪽)에도 후레쉬민트는 없는 상태다. 후레쉬민트(오른쪽) /롯데제과, 위메프 갈무리
홈페이지 제품소개 화면(왼쪽)에도 후레쉬민트는 없는 상태다. 후레쉬민트(오른쪽) /롯데제과, 위메프 갈무리

껌 시장의 이 같은 상황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이 코로나 팬데믹이다. 외부 활동이 제한되면서 껌을 주로 구입하게 되는 소매점 방문이 줄어들었고 마스크 생활화로 입 냄새 에티켓에 대한 부담이 낮아진 것도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여기에 재택근무로 운전수요가 줄어들어 껌을 잠 깨는데 활용하던 빈도 역시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것이다.

시카고 소재의 시장조사기관 IRI는 미국의 껌 시장이 2019년부터 2년간 7억 5500만 달러(약 9577억 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근거로 2019년 31억 3000만 달러(약 3조 9700억 원)였던 규모가 2021년 23억 8000만 달러(약 3조 200억 원)로 24%가량 하락했다고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롯데제과의 껌 매출 역시 2019년 1733억 원에서 2021년 1180억 원을 기록, 32%가량 줄어들며 코로나 펜데믹의 영향을 유추할 수 있는 모습을 보인다.

젤리 ASMR 유튜브

젤리의 인기 상승도 껌 매출 하락의 요인으로 지목된다. 껌과 유사하게 씹는 형태의 간식이면서 맛·건강·재미 등 다양한 콘셉트와 SNS 영향이 젤리 수요를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는 국내 젤리 시장이 2015년 1000억 원에서 2019년에 2000억 원 중반대까지 증가했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젤리가 포함된 사탕류 시장이 2015년 5580억 원에서 2020년 7240억 원으로 늘어나는데 젤리의 인기가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가 따른다.

포인트경제 이민준 기자

저작권자 © 포인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