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위성센터 및 모바일 누리집 통한 대국민 영상 전시 서비스
오는 20일부터 환경위성센터 홈페이지에 천리안 환경위성 2B호(정지궤도 환경위성) 기반의 '지상 이산화탄소(NO2) 추정농도' 영상이 실시간 공개된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공개된 ▲에어로졸(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나 액체 상의 입자상 물질, 미세먼지가 대표적)와 최근 공개된 ▲이산화황 이동량, ▲지상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추정농도와 함께 이번 공개 영상은 다섯 번째 환경위성 활용 산출물이다.

위성은 정지궤도 위성과 극궤도 위성으로 구분하는데. 극궤도 위성은 남북 방향의 지구 양극을 통과하는 궤도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관측하는데 돌일 지역 연속 관측이 불가하지만 전 지구 관측이 가능하다. 정지궤도 위성은 위성 궤도주기와 지구 자전주기가 동일해서 지구에서 볼 때 항상 같이 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일 지역 연속 관측이 가능하다.
이산화질소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 중의 하나로 오존과 초미세먼지 생성의 원인물질이자 반응성 기체로서 자동차 등 내연기관과고온의 산업 연소시설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농도는 지상에서부터 대기 상단까지의 이산화질소를 모두 포함하는데 우리 건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상에서의 농도다.

대기 전체층의 농도는 지상 농도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인체 영향을 직접 미칠 수 있는 지상에서의 농도를 알기 위해서는 기상 등 다양한 자료와 인공지능 기법을 융합하여 한 차례 가공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위성 관측자료에 지상에서의 이산화질소 농도 추정 결과까지더해진다면 지상과 대기 전체층의 공간 분포 비교도 가능하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지상 이산화질소 추정농도 산정기법이 이산화질소의 공간 분포뿐 아니라 주요 도시에서의 시간별 변화까지도 매우 유사하게 산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위성으로부터 산출된 지상 이산화질소 농도는 현재의 지상관측을 보완한 것으로 지상 관측지점이 없는 곳에서의 이산화질소 농도 분포도 한 눈에 볼 수 있는 게 장점”라며, “이번에 공개되는 영상은 지상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감시와 분석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케미컬뉴스 심성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