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06-02 11:08 (금)
노인성 황반변성, 비만 경력도 원인... 코로나19와도 밀접
상태바
노인성 황반변성, 비만 경력도 원인... 코로나19와도 밀접
  • 김지연 기자
  • 승인 2023.01.12 08: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령층의 시력상실 주요 원인 노인성 황반변성
쥐를 통한 실험에서 비만 경력이 노인성 황반변성 증상에 차이 보여
노인성 황반변성 환자 코로나19 감염 쉽고 관련 위험도 높아

살을 뺐더라도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최근 일본 교토대와 캐나다 몬트리올대 공동연구팀이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가능성이 제기됐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 /질병관리청

고령층의 시력상실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AMD는 망막에 이상 혈관이 생겨 시력을 저하시키는데 심각할 경우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 발병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됐다고는 할 수 없으나 노화·유전·비만·흡연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연구팀은 실험을 위해 비만 상태로 만들었다가 다시 표준 체중으로 되돌린 쥐와 보통 쥐에게 AMD를 발병시켰다. 그 결과 비만이었던 쥐에게서 다량의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며 AMD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후천적으로 바뀐 유전자가 비만을 기억해서 작용한다는 해석이 따랐다.

비만의 과거 병력은 선천성 면역력의 지속적인 후생유전학적 변화를 유발하고 신경염증을 악화시킨다 / 사이언스 갈무리
비만의 과거 병력은 선천성 면역력의 지속적인 후생유전학적 변화를 유발하고 신경염증을 악화시킨다 / 사이언스 갈무리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실험과 유사한 과정이 사람에게 일어난다면 비만의 과거력이 단핵 식세포를 재프로그래밍 하게 되고 이와 관련된 AMD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라고 결론 내리고 있다.

최근 또 다른 연구에서는 AMD와 코로나19 간의 유전적 관련성이 발견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AMD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감염되기 쉽고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전유전체 다발성 연구는 PDGFB와 AMD 및 COVID-19 감염 결과의 연관성을 식별한다 / MDPI 갈무리
전유전체 다발성 연구는 PDGFB와 AMD 및 COVID-19 감염 결과의 연관성을 식별한다 / MDPI 갈무리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실린 연구에서 미국 보스턴의대 연구팀은 AMD 환자 1만 6000명과 코로나19 환자 5만 명의 유전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AMD와 코로나19 모두 ‘혈소판유래 성장인자(PDGF)’의 돌연변이인 'PDGFB'와 관련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PDGFB는 비정상적인 혈관 변화를 일으켜 AMD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40세 이상 코로나19 환자의 증상이 악화될 때 높은 수치로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한, AMD 환자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호흡부전과 같은 합병증 발생률 및 사망 위험이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제2형 당뇨병(21%)과 비만(13%) 등 같은 고위험군의 다른 질병 환자들의 위험보다 높은 수치다.

연구팀의 린제이 패러(Lindsay A. Farrer) 교수는 연구 결과에 대해 "AMD 환자들이 코로나19 감염과 심각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위험의 증가에는 유전적 근거가 있을 수 있다는 임상 연구의 신빙성을 높여준다"라고 말했다.

케미컬뉴스 김지연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