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대비 약 3배 이상 탄소저감 효과 기대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기술·사업 더욱 가속화”
해양폐기물은 사람이 살면서 생긴 모든 부산물이자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된 물질로, 해양과 바닷가에 유입·투기·방치된 폐기물이다. 해양폐기물은 대부분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해양에서 자연 분해되는데 수백 년이 걸린다.

국내 기준 연간 약 5만 톤이 발생하는 해양폐기물은 육지 쓰레기와 별 다를 게 없지만, 폐기 비용으로 인해 수거가 원활하지 않고 수거되더라도 처치가 곤란해 방치되거나 주로 소각되어 왔다.
LG화학, 해양폐기물로 재활용 플라스틱 만든다

12일 LG화학이 자원 순환 업체 넷스파(NETSPA)와 해양폐기물 재활용을 통해 자원순환 체계 구축에 관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넷스파가 해양폐기물에서 플라스틱을 선별 · 가공해 제공하면, 이를 활용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생산하게 되며, 이로 인해 LG화학은 24년 가동 예정인 충남 당진시 석문국가산업단지 열분해유 공장의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자원순환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해양 생태계보호와 탄소배출 저감까지 기대하고 있다. 해양 폐기물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로 활용하고 해양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화석연료 기반의 기존 제품 대비 탄소도 3배가량 줄일 수 있다.
플라스틱은 오랜 기간 분해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해 자원을 일회성으로 소모하는 것은 지속가능 하지 않다. 폐기물을 다시 재자원화하여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 전환하는 것이 천연 자원의 소모와 폐기물을 저감하여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자원의 채굴과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저감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는 것.
LG화학은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재활용한 PCR(Post Consumer Recycled) 플라스틱을 생산해 플라스틱 폐기물의 매립과 소각을 줄이고 기존의 화석 원료 사용도 줄이는 자원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LG화학은 2050 넷제로 선언 이후 ▲바이오 원료의 친환경 플라스틱 출시, ▲바이오매스 발전소 합작사 설립, ▲이산화탄소 포집으로 플라스틱 생산 등 지속가능한 친환경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해양폐기물 자원 순환 등 미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기술과 사업을 더욱 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케미컬뉴스 유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