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03-29 11:40 (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이제 다 없어졌나?
상태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이제 다 없어졌나?
  • 박주현 기자
  • 승인 2023.02.27 07: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HO, 국제적 공중보건비상 상태(PHEIC) 선언 유지
국내 의사환자 총 56명 중 확진자는 총 4명
국내는 지난해 11월 마지막 확진자 발생 이후 91일째 추가 환자 없는 상황
국내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원숭이두창(Monkeypox, 엠폭스)은 지난해 5월부터 총 92개국에서 8만5천여 명이 확진되고 9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지난 15일 기준)

2022년 원숭이두창 발생 글로벌 지도 /CDC 갈무리

누적 발생 수로 보면 미국이 3만여 명, 브라질 1만여 명, 스페인 7500여 명, 프랑스 4100여 명 순으로 가장 많다. 최근 4주에 1126명으로 최대정점이던 지난해 8월 2만6371명 대비 5% 미만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9일 긴급위원회를 열고, 지난 15일 성명을 통해 원숭이두창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비상 상태(PHEIC) 선언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WHO는 전 세계적인 발생이 안정화 추세지만, 중앙아메리카 등 일부 국가에서 발생이 지속하고 있고, 발생 과소 보고 가능성과 유행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자원 확보 필요성 등을 고려해 유지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원숭이두창 발진 증상은 수두나 매독처럼 보일 수 있으며, 결국 딱지를 만들면서 후에 피부에서 떨어진다. /사진=영국건강보안국(UK Health Security Agency, UKHSA)
원숭이두창 발진 증상은 수두나 매독처럼 보일 수 있으며, 결국 딱지를 만들면서 후에 피부에서 떨어진다. /사진=영국건강보안국(UK Health Security Agency, UKHSA)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의사환자 총 56명 중 확진자는 총 4명이며, 지난해 11월 마지막 확진자 발생 이후 91일째 추가 환자는 없는 상황이다.

질병관리청은 이러한 국제적 공중보건비상 상태 유지에도 국내에서는 추가 환자 발생이 없고,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의 지역의 발생이 적어 동 지역의 위험 수준을 '낮음'으로 평가했고, 일부 해외 유입 시에도 신속한 전파 차단을 위한 대응 태세가 충분히 갖춰져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국내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원숭이두창 대책반 중심으로 대응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 및 지자체 지역방역대책반은 해제하게 된다.

케미컬뉴스 박주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제호 : 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