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06-02 11:08 (금)
탈모증과 염증성 관절염의 깊은 연관성
상태바
탈모증과 염증성 관절염의 깊은 연관성
  • 심성필 기자
  • 승인 2023.05.17 0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형탈모증 환자가 대조군보다 류마티스 관절염 등 위험이 유의하게 더 높다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가 원형탈모에 효과적

최근 미국 피부과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원형 탈모증(AA)은 염증성 관절염 위험과 높은 연관이 있다.

탈모 /사진=프리픽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의 연구원들은 75개 의료기관의 기록을 사용해 AA와 염증성 관절염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했으며, 분석에는 46682명의 AA환자와 일치된 대조군이 포함되었다.

연구팀은 AA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건선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및 강직성 척추염 발병 위험이 유의하게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AA 및 염증성 관절염을 가진 개인은 대부분 여성이었고, 가장 높은 비율은 류마티스 관절염(84% 여성)을 동반한 AA를 가졌다.

"이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염증성 관절염이 있는 AA 환자는 나이가 더 많았고(평균 연령, 54.4세), 관절염에 대해 AA 환자를 선별해야 하는지 여부와 나이에 대한 질문을 제기했다"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가 원형탈모에 효과적?

지난해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에 게시된 미국 예일 의과대학 연구팀의 새로운 연구 결과 원형탈모를 가진 3명 중 1명이 관절염 치료제로 치료한 후 모발을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지난해 FDA가 관절염 치료제 올루미언트(성분명 바리시티닙)를 탈모 치료제로 승인했는데, 이 약은 원래 류머티스 관절염 약으로 개발됐고 지난해 5월부터 코로나19 입원 환자들에 대한 치료 약으로 쓰이기도 했다고.

원형 탈모증은 류머티스 관절염과 마찬가지로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30~50대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여성에게 더 자주 나타나는 질환으로 외부의 나쁜 균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해야 하는 면역 체계가 자기 몸을 공격하게 되는데 면역 체계가 관절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활막이라는 조직을 공격해 염증이 생기는 걸 류머티스 관절염이라 한다면, 모낭을 공격하면 탈모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올루미언트의 탈모증에 대한 효능은 머리털이 50% 이상 빠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을 통해 증명되었으며, 매일 약을 복용하자 세 명 중 한 명에게 다시 머리털이 나기 시작했다. 9개월(36주) 만에 머리털의 80%를 회복했다고 한다.

케미컬뉴스 심성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