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3-09-25 17:38 (월)
"도시락 싸서 다녀야 하나?"...수산물 단체급식 강제 우려에 불안 고조
상태바
"도시락 싸서 다녀야 하나?"...수산물 단체급식 강제 우려에 불안 고조
  • 박찬서 기자
  • 승인 2023.08.28 14: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일 정부 대형 급식업체들 소집-수산물 소비촉진 방안 논의 예정
급식업체는 소비자 반발 부담, 소비자는 학교와 군대 등 강제급식 우려
지자체들 수산물 안전과 소비촉진에 사력

일본 원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나흘째, 이번엔 정부가 대형 급식업체들을 소집해 수산물 활용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 공식 요청으로 단체급식에 수산물 메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국민들의 반발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상위 급식기업 CI / 사진 출처-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상위 급식기업 CI / 사진 출처-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업계에 따르면 '우리 바다 지키기 검증 TF' 위원장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실과 해양수산부가 오는 30일 단체급식 업체들을 소집해 기업급식에 수산물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수협중앙회도 참여해 기업급식에 수산물 활용 확대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로 한 이번 행사에는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현대그린푸드, CJ프레시웨이 등이 포함됐다. 이들 기업은 국내 단체급식 시장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상위 그룹이다.

정부의 대기업 압박은 앞서 라면값 인하와 소주값 동결 등에도 통한 바 있어 이번에도 기업들이 정부 요청을 수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물가 안정 문제와 이번 문제는 사안이 다르다.

상품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는 구입 횟수를 조절하거나 대체품을 찾는 등의 대안을 찾아볼 수 있다. 반면 단체급식은 성격상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학교와 군대같이 제한된 공간이나 근처 식당이 없는 외진 곳에 위치한 기업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어 강제가 될 수 있다.

26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 및 윤석열 정부 규탄 범국민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일본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 출처 - 뉴시스
26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핵 오염수 해양투기 중단 및 윤석열 정부 규탄 범국민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일본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 출처 - 뉴시스

뉴스1을 비롯한 일부 언론에서는 정부가 책임을 기업들에 전가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을 전하기도 했다. 가뜩이나 여론이 심상치 않은데 소비자들의 반발에 직접 맞서야 하는 급식 기업들에게 부담을 떠안긴다는 것이다. 합의와 소통이 없는 정부의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에 국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해당 소식을 알리는 뉴스들의 댓글에는 "나라의 미래 세대들과 국방의 의무를 진 청년들에게 수산물 강제급식이 웬 말이냐"는 분노와 "애들 밥상에 올리지 말라"는 엄중한 경고도 있었다. "이참에 도시락 용기를 구입했다"는 댓글도 보였다. 물가도 비싸고 수산물도 불안하니 겸사겸사 도시락을 싸기로 했다는 것이다.

27일 네이버 쇼핑 검색어 순위 / 사진 출처 - 네이버 쇼핑 캡처
27일 네이버 쇼핑 검색어 순위 / 사진 출처 - 네이버 쇼핑 캡처

학교에 수산물 반찬이 나오면 도시락을 싸서 보내거나 집에서 점심을 먹도록 하겠다는 학부모들도 등장했다고 27일 서울경제가 전했다. 교육부는 25일 "학교 급식에는 안전성이 확인된 수산물이 공급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어제도 '방사능 측정기'가 네이버 쇼핑 검색 1위에 오르고 소금과 미역 등이 2, 3위를 차지하는 등 국민 불안은 고조되고 있다.

만약 우리 정부가 일본에게 주체적인 오염수 검증을 주장하고 오염수 방류에 대한 반대 의사를 강력하게 피력했다면 이렇게까지 국민의 신뢰가 떨어졌을까. 지난 6월 MBC 뉴스 보도에서 "일본의 오염수 방류로 얻는 국익이 무엇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는 "국익의 관점보다 과도한 선동이다"라며 기존 입장만 되풀이했다.

ㅇㅇㅇ
28일 부산 중구 부산시수협 자갈치위판장 / 사진 출처 - 뉴시스

아무런 국익도 없이 정부와 여당이 동조한 일본 오염수 방류에 건강을 위협받는 국민들과 생계에 직접적 타격을 입는 어민들, 이들을 품은 지자체, 소비자들의 반발을 겪어내야 하는 기업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감당하게 됐다.

22일 경기도 수원시 한 수산시장의 방사능 측정 / 사진 출처 - 뉴시스
22일 경기도 수원시 한 수산시장의 방사능 측정 / 사진 출처 - 뉴시스

지금 지자체는 우리 수산물의 안전과 수산물 소비촉진을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오늘(28일) 기사에서 각 지역의 단체와 어민들의 노력들을 다뤘다. 수도권과 온라인 시장을 통한 수산물 할인행사와 특판, 수산물 축제가 잇따라 개최되는 가운데 부산시는 방사능 검사 과정을 알리는 등 소비자 안심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ㅇㅇㅇㅇ
28일 용산 대통령실 구내식당에서 직원들이 우리 수산물 메뉴를 배식받고 있다 / 사진 출처 - 뉴시스

한편 대통령실은 오늘부터 일주일간 구내식당 점심메뉴로 우리 수산물을 제공하고 이후로는 일주일에 2번 이상 수산물 메뉴를 내놓기로 했다. 또한 정부와 여당은 어민 지원을 위해 2천억 원 규모의 예산을 마련하고 어민 유류비 지원도 검토하기로 했다.

케미컬뉴스 박찬서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케미컬뉴스

  • 상호명 : 액트원미디어 (제호:케미컬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4656
  • 발행일 : 2017-08-01
  • 등록일 : 2017-08-17
  • 발행·편집인 : 유민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정

NEWS SUPPLY PARTNERSHIP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 하단로고

CONTACT

  • Tel : 070-7799-8686
  • E-mail : news@chemicalnews.co.kr
  • Address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82, 무이비엔 빌딩 5F 502호
  • 502, 5F, 82, Sangdo-ro, Dongjak-gu, Seoul (07041)

케미컬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케미컬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