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개 광산 갱도에 생존박스를 11월 말까지 설치 완료 예정
2025년까지 근로자 5인 이상인 83개 갱내광산 모두 설치
2025년까지 근로자 5인 이상인 83개 갱내광산 모두 설치
생존박스는 광산 갱도에서 화재·매몰·붕괴 등 위험발생 시 광산근로자가 긴급히 대피하여 구조 시까지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긴급대피시설이며, 장소를 이동해 가며 설치가 가능하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는 삼척시 소재 석회석광산 갱도에 생존박스를 최초로 설치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11개 갱내광산에 생존박스 설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생존박스는 광산안전법에 따른 광산안전위원회가 제정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제작된다. 생존박스에는 6인이 72시간 이상 대비할 수 있고, 유해가스 차단, 산소 공급, 비상전원, 조명설비, 위생시설, 응급구호물품 등이 구비된다.

지난 2월 발표한 '광산안전 종합대책'에 따라 산업부는 금년부터 2027년까지 광산근로자 5인 이상인 83개 갱내광산에 생존박스 보급을 목표로 금년에 11개 광산에 생존박스 보급을 추진 중이며, 나머지 10개 광산에도 11월 말까지 생존박스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생존박스 보급으로 갱도 내 재해 발생 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어 작업 안전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생존박스를 통해 갱도에서 재해자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재해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밝혔다.
케미컬뉴스 심성필 기자
Chemistry is everywhere. 저작권자 © 케미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